Q&A

질문있습니다

(이채연)│2020-09-07 11:36:26.0│조회수:302 첨부파일:캡처2.PNG

 

위에서 거절사유에서 문자표에 있는 반점을 쓰라고 하셨는데 반점은 키보드에 있는 것을 써야하는게 맞지 않나요??

그리고 저 문자표에 있는 큰따옴표 사용했는데 확인부탁드립니다ㅜㅜ

잘못된 부분 구체적으로 알려주셨으면 좋겠어요ㅜㅜ 열심히 했는데 거절페이지로 뜨니까 속상하네요




┗ s│2020-09-07 13:30:28.0 많이 속상하시죠, 열심히 했는데...
큰따옴표, 작은 따옴표 등을 키보드 상에서 입력해야 하는 것인지 특수문자로 해야하는 지 어떤 것으로 해야 될지 많이 고민되시죠
일반적으로 영어문장이나 프로그램 언어에서는 키보드 상에서 입력하게 됩니다. 이유는 컴퓨터가 외국에서 개발이 되었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따옴표를 처음과 마지막을 구분하지 않아요. 따옴표(")을 기준으로 앞에 따옴표를 입력 하든 뒤에 따옴표을 입력 하든
상관이없어요. 다만 따옴표는 짝수로 끝나야 문장 인식이되어 구분합니다. 프로그램 언어도 마찬가지로 짝수로 끝나야 합니다.(따옴표 갯수는 상관없음)
그러나 우리나라 문장에서 따옴표는 처음과 마지막을 구분합니다. 그런데 아래아한글에서는 따옴표가 키보드 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데요? 하실 분이 계실거예요
아래아한글에서는 한번 따옴표를 입력할 때는 처음 따옴표로 표현되고 두번째 입력하면 마지막 따옴표으로 표현됩니다.
이것은 아래아한글 회사에서 그렇게 프로그램화 시켜서 그렇습니다.
사실 프로그램언어도 백슬래시(/의 역표현)를 키보드 상에서 입력할 수 없어요. 그런데 프로그램언어를 만드는 회사에서 ₩를 누르면 백슬래시가
표현되도록 프로그램화 시켜서 표현가능한 것 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문장의 따옴표와 영어 문장의 따옴표가 다르게 입력이 되지요.
IT로 점자도서관에서는 아래아한글처럼으로 키보드 상에서 자동으로 입력이 안되다보니
이것을 투수문자에서 표현하도록 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원본을 확대해 보면 따옴표가 프로그램 언어 안에서는 키보드 상에서 입력되었고
우리나라 문장에서는 투수문자로 표현되어 있었어요.
그래서 원본 페이지를 크게 확대해 보면 어떤 것으로 표현되어 있는 지 알 수 있어요.( 가능하면 작업 하실 때 한 번 확인 해 보셔야 해요)

┗ s│2020-09-07 13:44:16.0 PATH: PATH경로에 "그레이를 설치 폴더\bin" 추가
이부분이 우리나라 문장으로 되어 있어서 투수문자 큰따옴표로 표현해야 된다고 하는 것 같아요
이것도 원본을 확대해 보면 키보드 상인지 투수문자인지 구분되어 보여요.

┗ 이채연│2020-09-07 14:14:50.0 친절히 답해주셔서 감사한데 궁금한게 더 있어서요
근데 ㄴ+한자 버튼 눌러서 입력하는 따옴표랑 문자표에 있는 따옴표는 다른건가요??
그리고 쉼표는 키보드에서 입력하는걸로 강의에 나와있는데 왜 두 번째 사지에서 문자표에 있는 것을 사용하라고 했는지 모르겠어요

┗ s│2020-09-07 14:26:44.0 ㄴ+한자 버튼 사용에 대해서는 저로서는 무어라 답변드리기가 어렵네요.
작업 창에서 확대했을 때 구분이 되어야 되는 데 구분이 안되어 무엇이라고 말할 수가 없네요
그래서 저는 투수기호에서 자주쓰는 투수문자 문자표에서 입력합니다.
이부분는 실제 사용하신 분이 답변드리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쉼표는 따옴표를 구분하기 위해 그냥 사용한 듯 합니다.

┗ 귀염천사│2020-09-07 15:46:24.0 와.. 이건 정말 심해요
저도 거절사유 이해 못 하는 게 벌써 여러 개고,
답답해도 이젠 그냥 넘어가고 있지만...
이 경우는 또 너무 답답하네요.
공지에도 없고 동영상에도 설명 없는 부분인데, 이걸 어찌 제대로 할 수 있는지....
속상하시겠어요, 정말

┗ s│2020-09-07 16:59:30.0 너무 속상해 하지 마세요
저를 포함해서 모든 분들이 다같이 겪는 일입니다.
많이 하다보면 어떻게 해야하는 지 감이 옵니다.
그때는 본인 생각하는 대로 하면 거의 거절페이지(처음 새로운 작업말고)가 나오지 않아요.
그때까지 조금만 기다리시고 열심히 참여하시어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정회원 등업 신청 등업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