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저장, 제출이 되지 않아요

(posty)│2020-10-13 11:02:33.0│조회수:150

저장, 제출이 되지 않아서 3번째 다시 하고 있습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 posty│2020-10-13 12:03:58.0 p.268
래한다고 추정했다. 또한 기원전 2500년경에는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중국이 공통의 스타일을 공유했다고 추정한다. 하이네-겔데른이 살펴본 예술적 연관성(P. 60)은 언어적 연관성과 마찬가지로 증명되었다. 하지만 같은 주제에 대해서는 (본서 제3부 1장 주석 54에서 인용한) 레비-스트로스의 논문 참조.
주 87: J. de Vries, Altgermanische Religonsgeschichte,Berlin 1957(두번째 판본), II, p. 115 참조. 이 저술은 올릭A. Olrik의 연구에 기초했다.
주 88: 이 같은 의구심은 다음 저술에서 제기되었다. R. Karsten, The Religion of the Samek, Leiden 1955, pp. 24~25.
주 89: G. Ränk, Der mystische Ruto in der samischen Mythologie,Stockholm 1981; G. Ränk, "The North-Eurasian background of the Ruto-cult," Saami Pre-Christian Religion. Studies on the Oldest Traces of Religion Among the Saamis, L. Bäckman & Å. Hultkrantz 편집,Stockholm 1985, pp. 169~78; O. Pettersson, "The god Ruto," Saami Pre-Christian Religion, pp. 157~68 참조.
주 90: Jessen, Tractatu cit., p. 47 참조.
주 91: 여신에 대해서는 Burkert, Homo necans cit., p. 235, 주석 296 참조. 여기에서 공식화된 가설을 제기한 것은 K. Beitl, "Die Sagen vom Nachtvolk," Laographia, XXII(1965), p. 19(토르와 성인 제르마노와 관련하여) 참조.
주 92: 본서 제3부 1장 주석 21 참조.
주 93: C. Robert, in L. Preller, Griechische Mythologie, I, Berlin 1894, p. 296, 주석 2 참조〔하지만 바쟁(H. Bazin, Revue Archeologique, 1886, pp. 257 이하)에 대한 언급은 철회되어야 한다: R. Fleischer, Artemis von Ephesos, Leiden 1973, pp. 329, 415 참조〕. U. Wilamowitz-Moellendorff, "Isyllos von Epidauros," Philologische Untersuchungen, 9(1886) p. 68; U. Wilamowitz-Moellendorff, Hellenistische Dicbtung in der Zeit des Kallimachos,1924, II, p. 50; P. Kretschmer, Glotta, XV(1927), pp. 177~78 참조(P. Kretschmer, Glotta, XXVIII(1939), pp. 33~34도 참조). 그리고 Chantraine, Dictionnaire cit., I, pp. 116~17 참조. 아르타모스(artamos) 에 대해서는 J.-L. Durand, "Betes greques," Detienne & Vernant, La cuisine cit., p. 151 참조; 일반적으로는 G. Berthiaume, Les rôes du mágeiros, Leiden 1982 참조(두 연구자 중에 누구도 아르테미스와의 연결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는다).
주 94: 「욥기」19장 31〜36절 참조(베르톨로티(M. Bertolotti)는 자신의 연구 논문 "Le ossa e la pelle dei buoi" cit.에서 이를 제사로 사용했다). 이 연구 논문은 그리스도를 부활절 양과 동일시하는「출애굽기」12장 46절과 「민수기」9장 12절을 언급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본서, P. 436 참조.
주 95: 이 해석은 파우사니아스가 사용한 용어인 'apokopto'에 의해 암시되었다. 사실 이 용어는'kopto' 'katakopto'의 동의어이며 희생제의의 용어로는 정확하게 마디별 절단을 의미한다(Berthiaume, Les rôles cit., pp. 49와 5 참조). 또한 M. Jost, "Les

┗ posty│2020-10-13 12:05:09.0 p.495
Review, III(1889), pp. 24~27; "Aryan Folk-Lore"” The Calcutta Review, LI(1870), pp. 119~21 참조(The Bombay 에 실린 더욱 긴 판본의 요약본은 구할 수 없었다. 다른 판본에서
익명의 편집자는 종교적인 이유로 암소를 물고기로 대체했다. 그 는 캠벨이 출간한 우화와의 유사성을 강조했다). 루스(Rooth, The Cinderella Cycle cit., p. 57)는 암소가 등장하는 우화가 인도차이나에서 인도로 전해졌다고 주장했지만 이것은 아직 증명되지 않은 가설이다. 인도차이나의 판본에서는 중국 판본에서와 마찬가지로, 암소와 새와 물고기가 교대로 등장한다(물고기는 가장 오래된 판본에 등장한다). W. Eberhard, Typen chinesicher Volksmärchen, (FF Communications, n. 120), Helsinki 1937, pp. 52~54; A. Waley, "The Chinese Cinderella Story," Folk-Lore, 58(1947), pp. 226~38: Nai-Tung Ting, The Cinderella Cycle in China and Indo-China, (FF Communications, n. 213), Helsinki 1974, pp. 47 이하 참조.
주 127: 참고문헌이 상당히 많다. 앞서 인용된 연구들 이외에도(본서 제2부 2장 주석 78 참조), 다음의 연구들을 참조하라. A. Friedrich, "Die Forschung iiber das fruhzeitliche Jagertum," Paideuma, 2(1941~43), pp. 20~43; A. Friedrich, "Knochen und Skelett in der Vorstellungswelt Nordasiens," Wiener Beiträge zur Kulturgeschichte und Linguistik, 5(1943), pp. 189 〜247: H. Nachtigall, "Die Kulturhistorische Wurzel des Schamanenskelettierung," Zeitschrift für Ethnologie, 77(1952), pp. 188〜97; Gignoux, "Corps osseux" cit. 북아메리카에 대해서는 Hertz, Sulla rappresentazione cit., p. 79. Friedrich, "Die Forschung" cit., p. 28에서는 내가 접근할 수 없었던 아프리카 현상들에 대한 두 가지 연구를 인용했다.
주 128: Hertz, "Contribution" cit. 참조. 뼈의 수습이라는 주제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C. Lévi-Strauss, "L'art de déchiffrer les symboles," Diogène, n. 5(1954), pp. 128~35 참조 (루스의 저술을 다룬다).
주 129: V. Propp, "L’albero magico sulla tomba. A proposito dell'origine delle fiabe di magia"(1934), Edipo alia luce del folklore cit., pp. 3~39 참조. 이 연구는 신데렐라 에도 이 주제가 포함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주 130: 중국의 사례에 대해서는 Waley, "The Chinese Cinderella Story" cit. 참조. 콕스의 연구(Cox, Cinderella cit.)에서 가져온 다음의 참고문헌들을 참조했다. 베트남의 사례 에 대해서는 A. Landes, Contes et légendes annamites, Saigon 1886, n. XXII, pp. 52~57; G. Dumoutier, "Contes populaires Tonkinois. Une Cendrillon annamite," Archivio per lo studio delle tradizioni popolari, XII(1893), pp. 386 ~91(이야기는 기원전 4세기의 마지막 왕인 홍Hung 왕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인도(캘커타) 사례는 "Aryan Folk-Lore" cit.; 러시아의 사례는 A. N. Afanasjev, Anticbe fiabe russe, 이탈리아어 판본: Torino 1953, pp. 515~17("Briciolina-trasandata"); 세르비아의 사례는 Serbian Folklore, W. Denton 편집, London 1874, pp. 59~66; V. Karajich, Serbian Folk-Tales, Berlin 1854, n. XXXII: 시칠리아의 사례는 G. Pitré, Fiabe,

┗ posty│2020-10-13 12:05:15.0 p.536
미주
주 1: N. S. Troubeckoj, L'Europa e l'umanitá, 이탈리아어 판본, Torino 1982 참조.
주 2: 본서, pp. 243~45, 344~46 등 참조.
주 3: M. Bonnet, "Traditions orales des vallées vaudoises du Piemont," Revue des traditions populaires XXVII(1912), pp. 219~21; J. Jalla, Légendes et traditions populaires des vallées vaudoises, 개정증보판, Torre Pellice 1926, pp. 38~39참조. 이 연구서에서 '말벌(galabroun)’은 '마녀'를 의미하는 'masc'로 불렸다(두 텍스트를 내게 알려주고 보내준 다니엘레 트론(Daniele Tron)에게 따뜻한 감사 인사를 전한다). 군트람에 대해서는 본서, P. 252 참조. 샤머니즘적인 현상들과의 비교는 다음의 연구서에서 여러 차례 등장한다. R. Christinger & W. Bourgeaud, Mythologie de la Suisse ancienne, Genève 1963: 롯팔크(E. Lot-Falck)는 서문에서 스위스가 여러 문명들 간의 진정한 교차점이라고 강조한다(p. 11).
주 4: 이것은 나중에 '중세 페스트균(Pasteurella pestis medievalis)'으로 불렸던 것의 일종이다. Le Roy Ladurie, "Un concept: l'unification microbienne" cit., pp. 50 이하 참조.
주 5: Giorgetta, "Un Pestalozzi accusato di stregoneria" cit. 참조.
주 6: Giorgetta, "Documenti sull’Inquisizione a Morbegno nella prima metà del secolo xv," Bollettino della società storica valtellinese, XXXIII (1980), pp. 59~83, 특히 pp. 81 이하 참조. 두여성은 다음과 같이 자발적으로 자백했다.
"malleficiatrices et in fide defficientes… a diabolo fore seductas et longo tempore in heretica pravitate extitisse et diabolicis suasionibus et serviciis obedivisse una cum certa mulierum quantitate eundo coram quadam appellata domina ludi, qui demon est, et cum ea certis nocturnis horis conversationem habuisse et in eius societate perseverasse, nonnulla committendo que manifestam sapiunt heresim, que pro presenti non veniunt publicanda…"(강조는 필자).
주 7: Monumenta conciliorum generalium saeculi decimi quinti, Concilium Basileense, III, 1, Vindobonae 1886, p. 483 참조. 그 외에도 J. Gill, ll concilio di Firenze, 이탈리아어 판본, Firenze 1967, pp. 377~78 참조.
주 8: 정확하게 이런 사실을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는 P. Paravy, "Faire croire. Quelques hypothèses de recherche basées sur l'étude des procés de sorcellerie en Dauphiné


작성 문의 편집 중 질문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