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편집 문의

(1wish)│2022-07-21 15:37:02.0│조회수:188

1. 왼쪽 측면 위쪽에 감상 체크라고 적혀있는 부분은 주석이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만 측면각주 위치에 적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표기해야 하나요?

 

1) 그래도 주석으로 표기한다

주 : 1. 양반이 자신의 신분을 팔 게 된 이유는?

□□을 갚지 못해서

주 : 2. 양반 신분을 사기 전 양반 에 대한 부자의 생각은?

□□과 같음

주 : 3. 부당한 특권을 누리며 백 성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양반 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담은 말은?

□□□

 

2) 주석으로 안 보고 다단으로 본다

1. 양반이 자신의 신분을 팔 게 된 이유는?

□□을 갚지 못해서

2. 양반 신분을 사기 전 양반 에 대한 부자의 생각은?

□□과 같음

3. 부당한 특권을 누리며 백 성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양반 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담은 말은?

□□□

[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06학년도 3월 고2 전국연합

 

 

2. 왼쪽 측면 아래쪽은 측면각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근데 이 경우 측면 각주로 표기를 하면

 

주 *: 환곡: 조선 시대에, 곡식을 사창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

주 **: 야비한: 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천한

주 ***: 동래박의: 1168년에 중국 남송의 동래 여조겸이 『춘추좌씨전』에 대하여 논평하고 주석한 책. 과거문에 사용되어 문과 시험의 규범이 되었음

이런 식으로 :이 두 번 중복이 됩니다.

 

동영상 보면 :이 중복되는 경우 뒤쪽 :을 지우고 한 줄 내려주라던데

주 *: 환곡

조선 시대에, 곡식을 사창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

주 **: 야비한

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천한

주 ***: 동래박의

1168년에 중국 남송의 동래 여조겸이 『춘추좌씨전』에 대하여 논평하고 주석한 책. 과거문에 사용되어 문과 시험의 규범이 되었음

이런 식으로요.

이 경우처럼 원문에 :이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도 뒤쪽 :이라는 이유로 지우는 게 맞는 건가요?

 

 

3. 1과 2를 측면각주로 보는 경우 측면각주에 제목이 달리는 꼴이 됩니다. 측면각주 제목은 어떻게 표기를 해야 하는 건가요? 그냥 각주 바로 윗줄에 

어휘 체크

주 *: 환곡: 조선 시대에, 곡식을 사창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

주 **: 야비한: 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천한

주 ***: 동래박의: 1168년에 중국 남송의 동래 여조겸이 『춘추좌씨전』에 대하여 논평하고 주석한 책. 과거문에 사용되어 문과 시험의 규범이 되었음

이런 식으로 적으면 되는 건가요? 그리고 감상이랑 어휘에 반원 모양으로 색칠이 되어 있는데 이건 따로 표시 안 해도 되는 건가요?

 

 

 

4. 왼쪽에 동그란 캐릭터 안에 다 라고 적힌 건 어떻게 표현하면 될까요?

 

1)(다) 부자는 증서를 중지시키고~

 

2)㉰ 부자는 증서를 중지시키고~

 

 

5. 제일 처음 사진 전체와 이 사진의 위쪽 내용은 박지원 양반전을 따온, 말하자면 인용문입니다. 그럼 이 경우에도 앞뒤로 한 줄씩 띄우는 게 맞나요?

 

 

 

6. 답 쓰는 칸이  소괄호로 표시되어 있고 그 사이에 빈칸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 그냥 ()이렇게 표시하면 되나요? 아니면 여는 소괄호와 닫는 소괄호 사이에 띄어쓰기를 해 줘야 하나요?

 

 

7. 네모 상자 안에 글이 써져 있는 경우 이걸 따로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되나요? 표시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1번 문제는 줄 긋기 문제입니다. 이건 어떻게 표현해야 하나요? 사진으로 지정해야 할 것 같긴 한데 설명 칸에 뭐라고 적어야 하나요?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그래도 틀리게 하는 것보다 여쭤보는 게 나을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도서검수 및 재등업 요청 편집 문의: 밑줄 아래 글자